콘텐츠 마케팅 스쿨 광고 디자인 광고 강의를 복습한 내용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의 특징을 설명하고 광고 제작 과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1.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 광고
인스타/ 페이스북 광고는 네이버, 카카오톡의 광고와 달리 피드 형식으로 노출됩니다. 네이버와 카카오톡은 광고와 정보콘텐츠의 구분이 뚜렷한 반면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은 콘텐츠와 광고가 일관된 페이지에서 노출됩니다. 소비자에게 좀 더 자연스럽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광고를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은 광고 제작에 간편합니다. 구글의 GDN은 수많은 사이즈를 요구합니다. 각 노출 지면 알맞은 광고를 노출하기 위해선 일일이 사이즈를 설정해야 하지만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은 1:1 정방형 사이즈로 다양한 지면에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습니다.
2. 광고 제작 프로세스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광고 제작을 하기 위해서는 광고 제작 프로세스를 알아야 합니다. 광고 제작은 기획자와 디자이너의 협업이 중요합니다. 기획자의 기획 의도와 어울리는 디자인인지, 콘텐츠의 개선점과 문제점은 없는지,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콘텐츠를 만들어야 합니다.
3. 디자인과 기획은 설득의 과정이다.
기획서를 작성하고 파악하는 과정에서 논리와 근거가 필요합니다. 왜 이 요소를 활용하는지, 왜 이 문자를 강조하는지 명확한 이유와 근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이유와 근거가 탄탄한 기획안은 원활한 소통을 도와주며 두 번 세 번 수정되는 불필요한 작업을 줄여줍니다. 광고 기획의 이유와 근거는 기획안은 가설, 목표, 결과를 포함해야 합니다. 광고 요소들은 가설을 실험하고 목표에 도달할 수 있게 도와주는 방향으로 제작되어야 합니다. 명확한 가설과 목표가 존재하면 광고 제작 의도, 디자인에 탄탄한 이유와 근거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4. 광고력을 기르는 방법
광고의 근거와 논리성을 키우기위해서는 많은 참고자료를 활용해야 합니다. 잘 만들어진 광고를 보고 왜 이렇게 만들었고 무엇을 강조했는지,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작했는지, 역기획을 해보면서 논리력과 근거를 세워봅니다. 자연스레 광고 기획에 필요한 부분을 습득하고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습니다. 광고 참고자료는 "페이스북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면 됩니다. "나무위키"를 활용하면 다양한 구글 GDN 광고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마케팅 광고 디자인 강의에서는 디자이너와 마케터의 협업을 강조합니다. 광고 제작 업무가 협업이 많이 이루어지는 작업인 만큼 디자이너와 마케터의 의사소통이 원활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저는 마케터는 광고 목적과 목표가 명확한 기획안을 만들어야 하며, 디자이너는 기획자의 의도를 담아내는 디자인과 더불어 더 나은 방향성을 제안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하고 개선점을 찾도록 노력해야 합니다.